오늘날 양반이라면 엄격한 신분체계로 이해되지만 실제로는 '지역 명망가들의 사교클럽'(미야지마 히로시 성균관대 교수)에 더 가까웠다는 점을 이해한다면, 호적상 양반임을 내세워 실제 양반 행세하기란 쉽지 않았을 것이다.
이보다 더 눈길을 끄는 대목은 후손들의 족보에서 1831년 양자가 처음 등장한다는 점이다. 양자 입양은 양반 가문에서 부계질서 위주의 가계계승을 위해 썼던 방법이다. 사회적 지위가 상승하면서 양반층의 문화를 따라하고 베끼는 것을 넘어서 '양반층의 문화를 부분적으로 내면화하는 과정'을 거쳤다는 것을 짐작게 해준다. 이는 많은 점을 시사한다. 독일 철학자 노베르트 엘리아스는 '문명화 과정'을 통해 문명이 광범위하게 퍼져나가는 계기로 상층계급에 대한 모방과 내면화 과정을 들었다. 마찬가지로 조선이 망하면서 사라졌다고 여긴 양반에 대한 동경과 욕망은, 여전히 우리 내면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을지도 모른다. 권 교수도 "모방행위는 신분적 굴레에서 벗어나려는 의도로부터 시작됐지만, 누구나 양반이 될 수 있었던 근대사회로 서서히 접어들면서 많은 사람이 그러한 노력을 중단할 수 없게 됐다."고 결론짓는다. 어쩌면 우리는 아직도 조선시대에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미래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속가능한 에너지공급 (0) | 2012.03.06 |
---|---|
5억500만년전 척추동물시조 (0) | 2012.03.06 |
미래예측 (0) | 2012.03.02 |
신문과 잡지에서 방송과 온라인으로 (0) | 2012.03.02 |
사회관계망 (0) | 2012.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