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24.1.31일 미국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s)의 총부채는 7조 5873억 달러, 준비금 잔액은 3조 5천억 달러, 지폐발행은 2조 7096억 달러다. 이것이 의미하는 내용과 2024.1.31일 발표한 분기별 자금조달계획서(QRA)와의 관계를 자세하게 분석하면, 미국 재무부의 장기채 발행이 증가할 것이다.(2023년도에 비하여 단기채 보다 장기채 발행이 증가할 것으로 분석됨) 그렇다면, 2024년 1분기와 2분기의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상승할 것이다. 지난 데이터와 추세를 분석한 근거를 기반으로 살펴 본다면, 2024년 2월 이후 미국 증시는,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의 상승 추세가 하락으로 돌아설 때까지, 미국 증시는 하락할 것으로 분석된다.
* 2024.2.1일 현재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 3.8630% -> 2.10일 4.1770%로 상승
*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PMI, 50 이하이면 제조업의 수축을 의미한다.)
- 2022.11월 49.0 ~ 2024.1월 49.1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는 15개월 동안 연속으로 50 이하임)
2. 2024년 1월 31일 현재 미국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s)의 재무상태 분석
- 총 부채 : 7조 5,873억 달러
- 준비금 잔액 : 3조 5,000억 달러
지폐 발행 : 2조 7,096억 달러
3. 2024년도 미국 예산 : 2조 3천억 달러
- 국방 19.8%/ 사회보장 16%/ 메디케어 14.3%/ 건강 10.9%.........................
4. 미국 인플레이션 : 2022년도 정점 대비 -> 2023년도 6% 하락
- 실질 임금(인플레이션을 감안한 금액) 상승률 : 2.8%
* (고용 증가로 인한) 실업률은 역사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임
5. 부채 증가 및 준비금 감소의 원인
- 연준의 자산 매각 축소 : 연준은 2023년 6월부터 자산 매각을 축소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시중에 유통되는 자금 감소와 은행의 준비금 감소로 이어졌습니다.
- 금리 인상 : 연준은 2023년 3월부터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은행의 자금 조달 비용 증가와 준비금 감소로 이어졌습니다.
- 경제 불확실성 증가 : 2023년 하반기 이후 경제 불확실성 증가는 은행의 위험 회피 선호를 높여 준비금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6. QRA와의 관계
- QRA(Quarterly Refunding Announcement)는 연준이 매 분기마다 발표하는 자금조달 계획입니다.
- QRA에는 연준이 앞으로 3개월 동안 발행할 국채와 MBS(주택담보부증권)의 규모가 포함됩니다.
- 연준은 일반적으로 금리를 인상할 때 QRA를 통해 발행하는 국채와 MBS의 규모를 줄여 시중에 유통되는 자금을 감소시킵니다.
'외로움이 파도처럼 밀려오는 한밤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민익 시 '잔술 한 잔'이 KBS 뉴스에 방송되고, 2023.2.28일 MBN 뉴스 '김주하의 그런데'에 방송되었으며, 2023.2.25일 조선일보 만물상에 보도되었습니다. (0) | 2023.10.25 |
---|---|
손민익의 시 "꽃" (0) | 2023.04.23 |
손민익 시 '잔술 한잔'이 KBS 뉴스에 방송되고, 조선일보 만물상에 소개되고, MBN 김주하의 '그런데'에 방송되었습니다. (1) | 2023.03.04 |
손민익 시 <일색>이 한국현대시 2022년 하반기호에 게재되었습니다. (0) | 2023.01.06 |
손민익 시 <봄이다>가 한국현대시 2022.상반기호에 게재되었습니다. (0) | 2022.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