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인구기금(UNFPA)을 인용, 핼러윈데이인 이날 지구인구가 70억명을 돌파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지구촌이 식량 위기와 기근 악화로 몸살을 앓는 가운데 출산율이 계속 증가하자, 국제기구 등도 인구폭증에 따른 문제에 공동 대응하기 시작했다.
▶멜서스가 깜짝 놀란만한 인구폭증...21세기말 100억=1999년 60억 명을 돌파한 지 12년 만에 10억 명이 늘어난 셈이다. 세계 인구는 로마제국이 융성하던 서기 2년에 2억명 수준이었다. 유럽 산업혁명이 한창이던 1804년에는 10억명을 넘었다.
영국 경제학자 토머스 맬서스가 '인구론'(1798년)에서 "식량 생산은 산술급수로 늘지만 인구는 기하급수로 증가한다"며 '과잉인구'을 경고한 것도 이때다.
세계 인구가 20억명으로 두배 이상 늘어난 것은 1927년. 123년 만이었다. 40억명으로 다시 두배가 된 것은 1974년으로 47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지금 이 순간에도 전 세계에서 매초 2.5명의 아기가 태어난다. 1년에 7800만 명씩 인구가 늘어난다.
유엔은 2050년에 93억 명에 이른 인구가 2100년에는 100억 명을 웃돌 것으로 내다봤다.
프랑스 국립인구연구소(INED)는 얼마전 펴낸 보고서에서 올해 인구 70억명을 돌파하는데 아프리카 인구의 급증이 큰몫을 했다고 분석했다.
INED에 따르면 지구촌 인구가 급증한 것은 19세기 이후. 200년전만 해도 전세계 인구는 10억명에 불과했다. INED는 1999년 처음으로 60억명을 넘은 이후 세계 출산율과 사망률의 차이가 빠르게 좁혀지면서 12년만에 70억명을 돌파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유엔인구기금(UNPFA)도 "의학 발달 등에 힘입은 개발도상국의 영유아 사망률 하락과 기대수명 증가, 청장년 인구 증가 등이 수십 년간 급격한 인구 증가를 불러왔다"고 분석했다.
INED에 따르면 전세계 인구 절반은 7개 나라가 차지했다. 중국이 13억3000만명으로 세계 1위 인구대국이었으며, 11억7000만명인 인도가 2위였다. 미국과 인도네시아, 브라질, 파키스탄, 나이지리아가 그 뒤를 이었다.
2050년이면 인도가 출산제한정책을 펼치는 중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인구대국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내놓았다.
INED는 전체 인구수는 계속 늘고 있지만, 인구 증가율은 50년전 2%에서 절반 수준인 1.1%대로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이는 여성 1인당 출산율이 1950년대 절반 수준인 2.5명으로 떨어진 데 기인한다.
그러나 유럽 여성 1인당 출산율이 1.6명인 반면 아프리카 여성 1인당 출산율은 4.7명으로 출산율의 지역적 편차는 여전히 크다고 덧붙였다.
▶국제사회 인구폭증 문제에 공동대응= 지구촌인구 70억명시대는 토머스 맬서스의 경고를 상기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맬서스는 인구증가 이론에서 출산율의 지속적인 증가와 인구 과잉에 따른 기근과 폭력의 증가를 예고했다. 지구촌 인구의 폭증은 이미 지구 환경과 동식물 생태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엔은 지난 14일 인구 폭발에 따른 문제에 지구촌이 공동 대응하기 위한 '70억 행동(70 Billion Actions)'을 공식적으로 시작한다고 밝혔다. 각국 정부와 기업, 비정부기구(NGO), 학계, 개인 등이 참여하는 범지구 차원의 운동이다.
이날 유엔본부가 있는 미국 뉴욕에선 반기문 유엔사무총장과 바바툰데 오소티메힌 UNPFA 사무국장, 각국 정부와 민간부문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70억 인구의 도전과 기회'라는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다.
이 캠페인의 목적은 70억 인구가 가져올 기회와 도전들에 대해 알아보고, 각국의 정부 및 민간기구, 개인, 언론및 학계가 빈곤과 불평등, 여권 신장, 건강, 청년 복지, 인구 노령화, 도시화 등 방면에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반기문 총장은 토론회에서 "식량은 충분하지만 수백만명이 굶주리고, 누군가는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는 반면 대다수 사람들은 가난하게 살아간다. 70억 인구 시대는 기회인 동시에 도전이며, 모두에게 도전이고 기회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빈곤과 불평등을 없애고 여성에 대한 차별을 없애고, 인권 침해나 폭력 현상을 없애는 것들 모두가 우리가 극복해야 할 도전들이다"라고 덧붙였다.
반 총장은 "사람에 투자한다면 최상의 배당금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며 각국 정부와 세계인의 연대와 공동 대응을 강조했다.
유엔은 다음달 24일 '70억 카운트다운'을 시작한다. 26일엔 '70억명 세계의 인간과 가능성'이란 보고서를 발표한다. 이어 세계 인구가 실제로 70억명을 돌파하는 31일엔 세계 지도급 인사들이 참석하는 기념식에 이어, 콘서트와 전시회, 캠페인 등 다양한 문화행사도 개최한다.
'인간과 자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배경복사 (0) | 2012.01.05 |
---|---|
2011년 12월 13일 오후 05:24 (0) | 2011.12.13 |
21세기 디지털시대 (0) | 2011.12.13 |
지구에 870만종 생물이 살고있다 (0) | 2011.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