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연구 (263) 썸네일형 리스트형 지속가능한 적정기술 산업혁명 이후 과학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은 인류의 삶을 풍족하게 만들었다. 형광등과 LED 조명의 확산으로 밤에도 대낮처럼 활동하고 에어컨과 전기 히터의 발전을 통해 날씨에 상관 없이 쾌적한 실내 생활을 영위하며 최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초고속 인터넷을 마음대로 .. ibm 5대혁신기술 IBM은 오늘 6번째"향후 5년 내에 일상 업무와 삶, 여가 활동을 변화시킬 5대 기술 혁신(IBM Five in Five)을 공식 발표했다. 올 해 발표한 5대 혁신은 다음과 같다. - 생활 속 운동 에너지가 가정에 전력으로 공급될 것이다 - 비밀번호가 필요 없게 된다. - 마음을 읽는 능력이 실현될 것이다.. 성장의한계-2 로마클럽의 성장의 한계 지속가능발전 개념에 대하여 국제사회가 관심을 갖게된 배경의 하나로 “성장의 한계”(The Limit to Growth)라는 1972년 로마클럽(Club of Rome)의 연구보고서에 나타난 환경보전과 경제발전에 대한 연구를 들 수 있다.1) 1970년 세계 각국의 과학자, 경제학자, 교육.. 성장의 한계 로마클럽이라는 지식인그룹이 이른바 성장의 한계라는 보고서를 발표한건 1972년이다. 세계인구와 성장률들을 감안할 때 세계가 가진 보유자원 그러니까 에너지나 식량은 곧 바닥이 날 수밖에 없고 성장은 한계에 부딪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었다. 이어서 1973년 세계는 오일쇼크.. 고령화 한국은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접어들었다. 지난 7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는 2010년 545만 명(11%)에서 2030년 1269만 명(24.3%), 2060년에는 1762만 명(40.1%)까지 늘어난다. 50년 뒤에는 인구 10명 중 4명이 고령인구인 것이다. 여러 이유로 인해 아이는 적게 낳는 반면 질병상.. 2011년 12월 15일 오후 06:53 유엔의 미래연구 싱크탱크이자, 15년 역사를 자랑하는 세계적인 미래 연구단체 ‘밀레니엄 프로젝트’가 발표한 2025년 미래의 모습! [책의 내용] 미래를 선점하려는 전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춰 기획재정부가 미래예측 대응역량(future Literacy)을 전략적으로 키워나가겠다고 밝혔다. .. 2011년 12월 15일 오후 06:50 ‘날씨 조절 관리자’ ‘임종 설계사’ ‘기억수술 전문 외과의’…. 글로벌 미래연구 기관 ‘밀레니엄 프로젝트’가 예측한 14년 뒤의 인기 직업들이다. 밀레니엄 프로젝트는 최근 국내 출간된 단행본 ‘유엔미래보고서 2025’(교보문고)에서 2025년 인기 직종으로 떠오를 54가지 .. 2011년 12월 15일 오후 06:47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앞으로 ‘글로벌 책임’이라는 개념으로 확장할 것이다. 글로벌 기업들은 전 세계가 안고 있는 기후변화, 물 부족, 빈부격차 등에 관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이와 관련, 구글은 선진국의 빈곤국 법률 지원, 극단주의 예방, 무너져가는 국가의 지속성 .. 이전 1 ··· 3 4 5 6 7 8 9 ··· 33 다음 목록 더보기